본문 바로가기

연구논문

운파 박경랑의 영남교방청춤 장단분석



운파 박경랑의 영남교방청춤 장단분석

이 채 영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운파 박경랑의 영남교방청춤 음악에 나타난 장단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춤을 이해하는데 앞서 음악의 구조를 이해한다는 것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면서 전통춤 전반의 음악적 연구에 발전될 하나의 영역이라 사료된다.

또한 우리가 음악을 들었을 때, 그 음악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장단이다. 영남교방청춤은 춤의 유명세에 비해 장단의 음악적 특성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즉 장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장단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연구는 아직도 선행 연구되어 있지 않은 점이 가장 큰 쟁점이다.

따라서 본고는 영남교방청춤 반주음악의 장단을 분석하여 악보화하고, 리듬분석을 목적으로 김청만선생이 반주한 장구 장단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영남교방청춤 음악은 총 261장단이며 1995년 운파 박경랑이 전주대사습에서 장원을 한 후 영남교방청춤의 전용 반주음악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기획, 제작된 음악으로 굿거리 131, 자진모리 119, 마지막굿거리 11장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총261장단 중 굿거리 48장단으로 장구와 징 장단을 먼저 채보하여 연구하였으며, 나머지는 추후 지속적인 연구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은 매 장마다 특색 있는 하나의 악기 출현이 특징으로 자리잡은 연주형식을 취하는데 이는 박경랑의 개인적인 요구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적 구조와 장단의 흐름은 단조로움 속에 나름의 규칙과 원리가 내재해 있으며 굿거리장단은 오로지 연주자의 기량과 춤추는 이의 즉흥성의 반영을 위해 기본틀 안에서 조금씩 변형 연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음악의 리듬구조는 제 1박에서는 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45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며, 제 2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20회로 가장 많다. 제 3박에서는 9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의 리듬이 38회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제 4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15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이상과 같이 영남교방청춤의 굿거리장단은 본문에 기보된 것과 같이 여러 갈래의 단순한 형태로 여러 가지 변화들이 나타났다. 그 변화들은 춤의 근원을 바탕으로 표현양상이 그만큼 다양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핵심어 : 운파 박경랑, 교방청, 리듬, 장단 연구, 영남교방청춤

목 차

Ⅰ. 서론

2. 영남교방청춤 반주음악의 굿거리

48장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영남교방청춤 반주음악의 박자구조와

장단구현양상

2. 연구방법 및 한계

 

Ⅱ. 운파 박경랑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적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1. 운파 박경랑 영남교방청춤의

시나위구조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통음악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장단은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여러 장르의 음악에서 장단은 한국음악형식을 구성하는 근본적인 토대가 되고 있으며, 가락이 생성되는 기본적인 틀거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가 음악을 들었을 때 그 음악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이 장단이다. 즉 장단의 구조가 느리고 복잡하며 어려울 때 보다 쉽고 단순하여 그 장단의 반복구조를 빨리 파악할 수 있을 때 더 그 음악을 이해하기가 쉬워진다는 것이다.

그만큼 음악 안에서 사용되는 장단구조는 규칙적이고 일정할 때 그 음악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함을 가지고 있는 장단의 음악적 특성에 대하여 밝히지 못한 춤이 있다. 즉 장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1991년 한국국악학회에서 ’한국전통 음악의 장단’이라는 주제로 국악학 전국대회에서 장단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논문들이 발표되었지만 장단에 대한 연구에는 아직도 풀어야 할 문제들이 남아있다.

이렇듯 장단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연구는 아직도 선행 연구되어 있지 않은 점이 가장 큰 쟁점이다. 영남교방청춤을 비롯한 대부분의 민속춤은 글로 체계화한다던지, 무보로 작성하여 활발하게 전승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록의 부재(不在)로 인해 그 연구의 한계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영남교방청춤의 장단과 함께 연계하여 그 동안 간과되었던 영남교방청춤의 춤사위와 장단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아울러 장단을 분석하여 악보화하고, 리듬형태를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2. 연구방법 및 한계

본 연구의 연구범위는 운파 박경랑의 영남교방청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춤의 반주음악으로 쓰이는 본 음악은 1995년 전주대사습에서 장원을 한 후 녹음된 음악이며, 영남교방청춤 전용 음악을 목적으로 제작된 음악이다. 총261장단중 굿거리48장단으로 장구와 징 장단을 채보하였으며, 김청만선생이 반주한 장구 장단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또, 운파 박경랑에 의해 추어지고 있는 영남교방청춤을 직접 학습하면서 전체상을 파악하였으며 음악과 춤의 부분적 특징을 찾는데 주력하였다.

이외에도 영남교방청춤 전 과정의 ‘2009 박경랑의 춤 백의백무(白衣百舞)’ VTR 녹화물을 자료로 삼았으며, 영남교방청춤 보존회에서 기획한 VTR 녹화물을 중심으로 영남교방청춤 장단에 따라 굿거리 48장단만 컴퓨터 finale file과 일러스트레이터 CS 3를 이용하여 본인이 직접 채보하여 진행되었다.

 

 

Ⅱ. 운파 박경랑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적 특징

영남교방청춤은 영남지역의 교방에서 추어졌던 춤으로 박경랑의 외증조부인 故 김창후 그리고 그의 제자인 故 조용배 그리고 운파 박경랑에 의해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영남교방청춤은 즉흥무의 형식으로 추는 사람에 따라 수십, 수백 가지의 형태로 풀어낼 수 있다.

본고의 반주음악으로 쓰이는 음악은 1995년 전주대사습에서 장원을 한후 녹음된 음악이며, 영남교방청춤 전용 음악을 목적으로 음악실에서 제작된 음악이다. 총 261장단으로 굿거리 131, 자진모리 119, 마지막굿거리 11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는 총 261장단 중 굿거리 48장단으로 김청만이 반주한 장구 장단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영남교방청춤의 연주형식은 굿거리에서 합주-거문고 독주- 합주-대금독주- 합주-아쟁독주- 합주 순으로 진행되며, 자진모리에서는 합주-해금독주-합주-피리독주-합주-가야금독주-합주 순이며, 마지막 굿거리에서는 합주로 마무리된다. 매 장마다 특색 있는 악기의 출현은 운파 박경랑의 개인적인 요구에 의해서 이루어진 영남교방청춤 음악의 특징이다. 춤이 매 장마다 분위기가 달라지는 이유에 근거하며, 전체적인 영남교방청춤 음악에 있어서 춤과 합을 이루는 매력이 되어주고 있다.

 

1. 운파 박경랑 영남교방청춤의 시나위구조

이 춤의 음악은 시나위 합주로 굿거리(또는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이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시나위의 구조는 한강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 지방에서 특히 발달하였다. 무속 계통의 시나위 음악이 이 지역에서 주로 발달된 것은 한강 유역을 경계로 하여, 남부지방과 북부지방이 각기 무당의 유형이 다름에서 기인한다. 북부지방은 강신무가 많아서 소위 신이 내려서 무당이 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들은 무업을 하기 위한 수련기간이 적어서 남부지방의 무당보다 굿이 가지고 있는 연희적인 면이 다소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반면, 남부지방은 세습무가 대부분이어서 이들은 예로부터 집안 대대로 이을 가업으로 계승하였다. 따라서 남쪽의 당골(세습무인 무녀)들은 노래와 춤을 일찍부터 접하게 되어 기예가 뛰어났다. 이 지역의 무의식에서 쓰였던 음악이 오늘날 같이 예술 음악화 된 것으로 일정한 형식 없이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음악으로 경기남부, 충청도, 남도지방의 민속악인 무악에서 유래된 가락의 하나이다. 시나위 가락은 판소리와 산조의 계면조 가락과 비슷하며, 시나위의 악기편성은 어느 것이나 타악기와 관악기가 중심이 된다. 또, 산조와 마찬가지로 장구가 장단을 잡아서 이끌어가는 음악이기에 어떤 형태의 음악에도 장구가 빠지는 일이 없으며, 시나위의 악기편성이 다양해지고 한 종류의 악기가 둘 이상 편성될 때에는 장구 이외에도 징이 첨가되는데, 징이 사용됨으로써 무속적인 분위기는 더욱더 고조된다. 시나위는 원래 관악기만의 합주였으나 타악기(장구, 징)와 현악기(가야금, 거문고, 아쟁)를 첨가시켜 연주하기도 한다.

관악기는 젓대와 피리가 주로 쓰이며, 젓대와 피리로 시나위를 연주할 때에는 시나위 청으로 하여서 여러 가지로 손을 잡는 방법이 틀리며, 음조직도 올라가는 경우와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시나위에 있어서 악기의 청이 달라지는 것은 시나위가 본래 무속음악의 형태로써, 무녀가 음역을 맞추어 노래에 맞는 선율을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만들어서 연주하는 수성가락의 형태를 취했기 때문이다. 시나위와 산조는 불협화의 협화 또는 부조화의 조화 등으로 설명된다. 이는 현장, 곧 연주장소에서 즉흥적으로 창작해 가는 음악이며, 따라서 엄밀한 음악에서 시나위라는 악곡은 같은 것이 둘 이상 존재치 않는 현장음악이며, 즉흥연주인 것이다.

 

2. 영남교방청춤 반주음악의 굿거리 48장단

영남교방청춤에서 반주음악의 음양의 표현은 춤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음양에서 음의 소리는 궁채의 연주가 중심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장구의 궁편과 채편의 타격에 의해서 생기는 음양의 표현은 음색과 음질이 결합하여 소리의 밝음, 어두움, 깊음, 얇음, 무거움, 가벼움 등을 표현한다. 음양의 표현은 장단의 진행 속에서 춤공연에 동참하는 이들에게 다채로운 장단의 맛을 느끼게 하며 일체의 감정으로 춤에 몰입할 수 있게 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굿거리장단은 무수히 변주될 수 있다. 그것은 8분의 3박을 단위로 한 리듬꼴의 다양한 변화에서 비롯하며 특히 8분의 6박을 단위로 나타나는 관습적인 리듬꼴을 제외한 각 박의 리듬꼴은 대부분이 독자적이어서 8분의 3박 단위 리듬형으로 묶어지는 조합의 방식이 무수히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변주는 장구의 궁편과 채편을 교차하며 이루어지는 잔가락에서 비롯된 것 같다.

본 장에서는 시나위 장단의 분석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해 본 결과 형식적으로 매우 완성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음악적인 면에서 장구의 타격, 음양의 표현 등이 상호작용하여 김청만의 연주와 운파 박경랑의 춤 속에서 사람들을 몰입하게 함을 알 수 있다. 또 김청만의 타격에는 음악적 내용에 따라 소리의 질적 변화를 동반하여 선율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타격의 선율적 표현은 리듬동기의 형태로 결합되면서 장단의 즉흥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 타격의 선율성은 춤의 모든 음악에서 드러나면, 특히 영남교방청춤에서는 이야기식 춤판이 끊이지 않도록 감정을 유지시키는 힘을 갖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이성이다.

다음 <악보1>은 운파 박경랑의 영남교방청춤의 반주음이 되는 굿거리 48장단의 장구와 징 장단채보이다.


 

 

 

 

 

 

<악보 1>

 

 

3. 영남교방청춤 반주음악의 박자구조와 장단구현양상

영남교방청춤의 총 261장단 중 굿거리 131장단, 자진모리 119장단, 마지막굿거리 11장단 중 굿거리장단 48장단의 리듬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영남교방청춤 굿거리 46장단까지를 3분박으로 나누어 제1,2,3,4박으로 구분될 때, 제 1박에서는 리듬형이 몇 개가 있으며 어떤 리듬형의 사용이 많은지를 알아보고, 제2박과 제3박, 제4박에서도 같은 형식으로 리듬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47,48장단은 2분박의 맺음장단으로 리듬형 분석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다음은 영남교방청춤 굿거리장단에서 보이는 리듬형 분석사항이다.

 

1) 영남교방청춤 48장단 리듬형 분석

 

가) 제1박의 리듬형

,

제1박의 리듬형에서는 ①의 장단이 45회 출현했으며, ②의 장단에서는 1번 출현된다. 제1박에서는 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45회로 가장 많이 연주 되며 이는 장단이 시작의 눈을 확실히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나) 제2박의 리듬형

,

,

, , , ,

 

제2박의 리듬형에서는 ①의 장단이 1회 출현했으며, ②의 장단에서는 2번,

③번은 20번, ④은 11번, ⑤은 1번, ⑥번은 10번, ⑦번은 1번 출현된다.

제2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20회로 가장 많다.

 

다) 제3박의 리듬형

,

 

제3박의 리듬형에서는 ①의 장단이 1회 출현했으며, ②의 장단에서는 2번, ③번은 1번, ④은 38번, ⑤은 2번, ⑥번은 1번, ⑦번은 1번, ⑧번은 1번 출현된다.

제3박에서는 9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의 리듬이 38회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라) 제4박의 리듬형

,

,

 

제4박의 리듬형에서는 ①의 장단이 1회 출현했으며, ②의 장단에서는 1번, ③번은 1번, ④은 15번, ⑤은 9번, ⑥번은 13번, ⑦번은 1번, ⑧번은 2번, ⑨, ⑩, ⑪은 각 1번씩 출현된다.

제4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15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따라서 제2박과 4박에서 조금 더 다양한 리듬형이 구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영남교방청춤 굿거리 48장단의 출현빈도

 

본 연구는 영남교방청춤 굿거리장단 48장단의 출현빈도를 분석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영남교방청춤 굿거리장단의 출현빈도

리듬형태

출현장단

회 수

1

1

1

1

1

1

4,6,7,12,14,15,19,21,29,40

10

5,11,13,16

4

8,17,38

3

1

1

1

1

18,20,26,28,31,32,33,35,41,42,44,46

12

1

1

1

1

1

1

25,30,39

3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표 1>의 굿거리48장단의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장단이 10번, 장단이 12번으로 48장단 중에 눈에 띄게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다.

춤 반주 장단에서는 장구가 가장 핵을 이루는 악기로, 모든 장단의 변환과 빠르기를 조절한다. 특히 영남교방청춤 음악은 매 장마다 특색 있는 악기가 하나씩 도드라지게 연주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장구가 첫 박과 끝 박을 정확히 짚어주고 사이에 있는 잔가락은 거의 들릴 듯 안 들릴 듯 짚어주며 있으며, 그사이 가락은 징이 채워주고 있다.

Ⅲ.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영남교방청춤 음악 중 48장단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김청만이 연주한 장구장단에 관하여 분석 연구한 결과, 음악적 구조는 장단의 흐름이 단조롭지만 그 단조로움 속에서 나름의 규칙과 원리가 내재해 있으며, 영남교방청춤에 쓰이고 있는 굿거리장단의 기본요소는 시나위장단으로 기본틀 안에서 조금씩 변형연주되고, 오로지 연주자의 기량과 춤추는 이의 즉흥성이 절묘하게 합일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단의 형식은 대표적인 시나위 장단들의 기본리듬형과 자주 나타나는 변형장단이 있었으며, 장단 형식이 자유롭고 즉흥성이 강한 음악인 반면, 시나위는 악기 편성도 일정치 않은 채 불협화음인 듯 하면서도 그 소리들이 조화의 극치를 이뤘다.

 

영남교방청춤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나위 장단의 경우 대게 살풀이장단과 자진모리장단으로 구성되는데 중모리 장단과 진양조장단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산조의 경우 정해진 장단 속에 엄격히 자리잡은 음악인 반면, 시나위는 다듬어지지 않은 덜 형식적인 음악이다.

둘째, 일반적인 굿거리장단에 비해 두, 세번째 박을 장구가 치지 않고 징을 친다. 또, 37마디와 43마디에서 채편의 수가 많아지면서, 장단 안에서는 11마디와 13마디가 장단이 같다.

셋째, 계면조 음계만으로 선율이 짜여 져 있으며, 남에게 들려주기 위한 음악이 아닌 자신이 즐기기 위한 음악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서민의 음악이며 즉흥성이 강하다. 또한 음의 강·약은 첫 박과 마지막 박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장단의 기술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넷째, 4박으로 구성된 영남교방청춤에 나타난 리듬형의 종류로는 제 1박에서는 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45회로 가장 많이 연주 되며 이는 장단이 시작의 눈을 확실히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제 2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20회로 가장 많다. 제 3박에서는 9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의 리듬이 38회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제 4박에서는 13종의 리듬형이 있으며 , 의 리듬이 15회로 가장 많이 연주되었다.

따라서 제 2박과 4박에서 조금 더 다양한 리듬형이 구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굿거리48장단의 출현빈도를 살펴보면 장단이 10번,

장단이 12번으로 48장단 중에 눈에 띄게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기본형의 특징들을 주로 장단구조로 사용하지만, 영남교방청춤을 비롯한 민속춤들은 장단의 리듬을 악사에 따라 흐름의 붙임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점이다. 이렇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민속음악의 즉흥성과 다양성의 표현인데 주어진 틀은 비슷하지만 춤을 추는 흐름의 맥에 따라 즉흥적으로 달리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현재 추어지고, 연주되어 지고 있는 장단형이 단조로움 속에서도 다양하게 표현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영남교방청춤에서도 운파 박경랑의 춤과 음악이 합일이 되면서 완성도를 더욱 높여지고 있다는 점이 가장 두드러진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리듬의 분석을 통해, 리듬에 따라 장단구조와 붙임 형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단순하다고만 생각했던 영남교방청춤의 굿거리 48장단이 정형화된 형태가 아닌 다양하게 연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음악적 표현이야말로 우리 민속음악의, 우리 민속춤의 본질일 것이다. 앞으로도 영남교방청춤의 음악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전통음악의 즉흥성과 현장성에 기여할 연구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영남교방청춤의 장단구조는 단조롭지만 나름의 규칙성과 춤의 움직임이 합일됨으로 그 원리에 따라 즉흥적인 장구반주나 소리악기반주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틀에 박힌 정형성에서 벗어나 반주자가 즉흥적으로 자기 멋과 흥을 소리에 실어서 부르고 어우러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앞으로 장단과 춤의 관련성뿐 아니라, 선율 악기의 반주에 대한 춤사위 연구도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서적

이보형(1994), 한국민속음악 장단의 리듬형에 관한연구, 민족음악학.

길석근(2006), 한국음악의 장단 이해, 서울, 우리가락연구회.

이용식(2009), 한국 음악의 뿌리 팔도 굿 음악, 서울대학교출판부.

 

 

논문

최병길(2009), 동해안 별신굿 장단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주연(2003), 민요의 굿거리 장단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하진경(1988), 음악적 리듬구조의 분석론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진영란(2009), 강성영류 태평무 장단의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기간행물

2011, 계간 예술문화비평 제2호 가을, 한국예술문화비평가협회.

우리춤 연구소, 춤으로 본 지역문화, 한양대학교 출판부.

 

기타

2012, 1, 30, 운파 박경랑 선생님과의 인터뷰 중에서 발췌.

Woon Pa-Park, Kyung Lang Yoeng Nam Gyobang Cheng Chum Analysis of Rhythm

  ,

Lee, chae yeo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features of rhythm expressed in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 Prior knowledge of the structure in Music before dance is an essential factor and a spectrum that lead the development of Music in Classic Dance.

Also study of rhythm is able to help us understand and recognize the music. Although the Yeong Nam Gyoban Chum has been very well known, there has not been researched about the rhythm of the work.

In this point that the rhyth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is dance, this is an issue that there has no advanced research.

Thus, this study made a music score and analyzes the rhythm based on accompaniment of Master Kim, Cheong Man.

The music of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 has all 261 rhythms. In 1995, the Music had compopsed only for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This music is constituted Goodguri 131 rhythms, Jajinmori 119 rhythms, and Last Goodguri 11 rhythms.

This study researched 48 rhythms in front part among the 261 rhythms. The last of part will be researched continually. The each music part of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 has very characteristic and this is because each part has one special instrument.

The music structure of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 has simple flow but improvised in order to reflect dancer’s ability to impromptu.

 In rhythmical structure, the beat 1 has 3 types which are played mostly for 45 times, the beat 2 has 13 types of rhythm and played for 20 times, the beat 3 has 9 types of rhythm and played for 38times, and the beat 4 has 13 types and played 15times.

Thus, the rhythm of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 has simple forms but variety at the same time and emerged various changes. The various changes of music have performed and that is derived from the modes of dynamic dance representation.  

 

Key work : Woon Pa Park, Kyung Lang, Gyobang Cheng, Rythm, Research of Rythm, Yeong Nam Gyobang Cheong Ch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