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연관람후기및비평

박경랑의 2011 풍류 동행


박경랑의 2011 풍류 동행

-부산 예술 회관 개관 기념 축하 공연(2011. 5. 15. 부산 예술 회관 공연장)

 

배학수(경성대 교수)

 

선비의 아쟁 소리에 반해 기생은 춤을 춘다. 처음에는 열없게 움직이던 기생은 선비의 마음이 오는 것을 알고는, 목놀림의 교태로 선비를 유혹하고, 사랑의 기쁨을 뿜어낸다. 선비는 기생의 머리를 얹어주고 떠나간다. 이별할 때 선비는 마음을 함께 맺는다는 의미로 ‘동심결’(同心結)을 수건에 써서 기생에게 남긴다. 이날 박경랑은 교방청춤에 이런 사연을 담았다.

박경랑은 전통 무용의 추상성을 구체화하는 데 능하다. 교방청춤이 꼭 이런 사랑이어야 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특정한 상황을 작품에 부여함으로써 일반 관객이 그 춤의 진행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선비와 기생의 이야기는 수건춤으로 이어진다. 기생은 선비가 남긴 사랑의 징표를 안고 그리움의 춤을 춘다. 수건을 두 손으로 받들 때는 기다리는 희망이지만, 한 손으로 뿌릴 때는 미련을 거두려는 의지이다. 마지막 부분에 기생은 탈자적 회전으로 다시 만날 그날의 환상을 펼쳐낸다.

수건춤처럼 박경랑의 문둥북춤에는 두 세계가 얽혀 있다. 하나는 천병으로 고생하며 살아가는 현세이며 다른 하나는 건강한 몸으로 태어나고 싶은 내세이다. 사람은 누구나 육체적, 정신적 결함이 있기 때문에 이 춤은 초월을 꿈꾸는 모든 인간의 영혼을 위로하는 보편적 호소력이 있었다.

그러나 교방청춤은 반주와 춤이 따로 놀아 작품의 정서가 제대로 표현되지 못했다. 박대성은 춤은 보지 않고 자신만의 아쟁 산조에 심취했고, 박경랑 역시 그 음악에 춤을 맞추는데 실패했다.

공연장 무대 바닥에는 고무판이 깔려있지 않아 문둥북춤을 출 때 무용수가 미끄러져 넘어질 뻔하였다. 예술회관이 개관한지 몇 달 되지 않아 준비가 부족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무용 공연을 초청하려면 댄스 플로어 정도는 갖추어야 하지 않았을까? 여러 가지로 불만이 많은 관객은 박경랑의 다음 공연을 기다려야 한다.

[예술부산 Vol. 73. 2011. 5/6. 35 쪽]

  

[출처]박경랑의 2011 풍류 동행|작성자배학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