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동문화방송

2009년 안동 웅부무담 풍류가화 정신문화의 고장 안동에서 잔치가 사라진 이 시대, 말(言)을 넘어선 육체의 언어 춤(舞)과 그 너머의 침묵마저 잔치로 끌어들이고픈 춤판, 놀이판을 벌이자는 것. 전국적으로 고택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안동. 퇴계 이황 선생을 탄생시킨 정신 문화의 태두에 서 있는 안동에서 그 명성에 맞는 명품 공연 판을 꾸민다. 차일 치고 멍석 펴고 술 걸이고 떡 치던 잔치, 가족의 경사를 마을의 잔치로 치르던 성대한 축제, 어느덧 옛 풍경이 되어버린 잔치마당의 풍류를 다시 재현하고자 마련한 무대 600년 역사의 웅부(雄府) 안동에서 시민들과 춤꾼들이 함께 어우러진 잔치판을 통해, 보는 이 에게는 위안과 즐거움을,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흥겨움과 풍류를 선사한다. 2009년 안동 문화방송주최 웅부무담 풍류가화 예술 감독 박 경랑 더보기
구담무담(九潭無譚) 2007 09 08 기획의도 목하 잔치가 사라진 시대입니다. 환갑이니 칠순이니 하는 잔치들도 이젠 시들해졌고, 옛 법도를 잃었습니다. 차일치고 멍석 펴고 술 걸이고 떡 치던 잔치가 사라진 것입니다. 가족의 경사를 마을의 잔치로 치르던 성대한 축제, 어느덧 옛 풍경이 되었고, 그 풍경 속에서 누리던 풍류역시 지난일이 되었습니다. 이에 사라진 옛 잔치를 복원하고자 하는 마음을 구담무담(九潭無譚)에 담았습니다. 놀이의 이름을 구담무담(九潭無譚)이라 했습니다. 안동의 구담리(九潭里)에 있는 구담정사(九潭精舍)에서 벌이는 무담(無譚)이란 이야기입니다. 무담(無譚), 원래 무(無)자는 ‘춤을 춘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런데 점차 ‘없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 습니다. 하여 새로이 무(舞)를 만들어 춤춘다는 뜻으로 쓰고, 무(無)자는 없..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