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장원

부산 춤의 역사인 '마지막 동래 한량' 동래야류 명예보유자 문장원 씨 별세 '마지막 동래 한량'으로 불리던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문장원 상임고문이 22일 오후 1시 26분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 명예보유자인 고인은 1967년 동래야류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은 1세대 전승자다. 동래학춤과 동래한량춤 등이 시지정 무형문화재로 인정되고 이를 복원하는 데 구심점이 된, 고인의 삶 그 자체가 부산 춤의 역사였다. 향년 95세…학춤·한량춤 복원에 구심점 '소리는 전라도, 춤은 경상도, 그중에서도 제일은 동래'란 말은 바로 고인을 두고 한 말이었다. 1990년대 초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지팡이를 짚고 다녔지만, 춤판에 오르면 언제 앓았느냐는 듯이 춤으로 좌중을 압도했다. 슬쩍 팔 하나만 들어 올렸을 뿐인데 백 근의 무게감이.. 더보기
<부산 춤 텃밭을 일군 사람들-10> 전통춤 김진홍 동래 한량춤의 1인자 김진홍씨(.1935~ )는 부산춤계의 흐름을 더듬어갈 때 1.5세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인물이다. 초창기 부산춤이 몇몇 선구자들에 의해 막 자리를 잡아갈 즈음 춤 하나 잘추는 신인으로 등장한 그는 50여년간 이 고장을 지키면서 부산 전통춤의 맥을 꿋꿋이 이어가고 있다. 부산의 춤을 이야기할 때 그를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연륜이 덧씌여진 춤사위가 "가장 이 고장 춤답다"는 평가로 대변할 수 있다. 이 고장의 춤은 어떤 것인가. 그는 "안으로 삭일수 있는 춤,내재율과 내면세계가 깊이있고 무게있게 녹아나는 춤"으로 부산춤(혹은 영남춤)을 정의한다. 산뜻하고 깨끗한 중부지방의 춤과 솔직담백하게 감정처리를 하는 전라도 지방의 춤에 비해 이 고장의 춤은 멋과 흥,한을 마음으로 삭여서 추는 춤.. 더보기
김애정선생의 교방수건춤 "1920년을 전후해 동래권번, 봉래권번, 부산권번이 개설되었지요. 일제시대였던 만큼, 당시 가무악이 권번에서 행해졌으니 춤과 권번은 사실상 뗄 수 없는 관계였지요. 광복 직전까지 이들 권번이 부산 전통춤의 명맥을 이었지요. 강태홍 최송학 김해월 석국향 등이 이름을 날렸지요." 이때 김해 출신으로 한국 최초로 1927년 서울에서 무용연구소를 세운 배구자는 신 무용에 눈뜬 이다. "40년대에 주목할 분은 강태홍과 김동민(김온경 이사장의 부친)이었어요. 가야금 산조의 명인이었던 강태홍은 동래권번의 예술사범으로 춤을 최초로 일반에 보급했고, 김동민은 48년 부산 서구 토성동에 부산 최초의 무용학원(민속무용연구소)을 열었지요." 광복 직후 활동했던 명인으로는 김강남월 문장원 김애정 박성옥을 꼽고 있다. 부산춤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