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 명예보유자인 고인은 1967년 동래야류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은 1세대 전승자다. 동래학춤과 동래한량춤 등이 시지정 무형문화재로 인정되고 이를 복원하는 데 구심점이 된, 고인의 삶 그 자체가 부산 춤의 역사였다.
향년 95세…학춤·한량춤 복원에 구심점
'소리는 전라도, 춤은 경상도, 그중에서도 제일은 동래'란 말은 바로 고인을 두고 한 말이었다. 1990년대 초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지팡이를 짚고 다녔지만, 춤판에 오르면 언제 앓았느냐는 듯이 춤으로 좌중을 압도했다. 슬쩍 팔 하나만 들어 올렸을 뿐인데 백 근의 무게감이 전달됐고, 가볍게 한 발 내디뎠을 뿐인데도 춤이 됐다. 마음 가는대로 추는 허튼춤인 문장원류 동래한량춤이다. '노름마치'를 쓴 진옥섭은 고인의 춤을 '구순의 텅 비운 몸으로 여백과 만나는 한 폭의 세한도'라고 했다.
고려 말 목화씨를 가져온 문익점의 26대손인 고인은 동래고보 시험에 두 번이나 연거푸 낙방하면서 춤과 풍류 인생을 시작했다. 동갑내기인 천석꾼 사돈과 이른 나이에 기방을 드나들며 춤을 배웠다.
--> 부산일보 해당기사 더 보기
'공지사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임조교 박선영선생 수상 (0) | 2012.09.17 |
---|---|
박경랑선생~ 9월8일 안동문화예술의전당에서 '가락 - 6인의 풍류' (0) | 2012.09.04 |
7월18~19일 ‘바리바리 촘촘 디딤새’ 국립극장 별오름극장 - 영남교방청춤 백재화의 '레테의 강' (0) | 2012.07.16 |
7월13일 국립국악원 우면당 국악공연 - 2012 박선영의 춤 '本' (0) | 2012.07.11 |
남한산성 행궁풍류 2012년 공연일정과 공연내용 (0) | 2012.07.10 |